본문 바로가기
성경상식

중국 심천 주사랑한인교회

by 믿음의길 2025. 3. 3.

중국에는 많은 한국인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인교회도 여러 곳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 정부의 종교 규제로 인해 한국 교회와는 다른 방식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중국에 있는 한국교회의 특징과 운영 방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본당모습

 
중국심천(선전)에 있는 주사랑한인교회 입니다. 1999년 3월 심천 셔코국제학교(SIS)에서 설립예배를 드리며 첫발을 내디뎠으며 대한예수교장로회(합신) 동서울노회에 속해있는 건강한 교회입니다.
 

교제실모습

 
중국 해외교회 특성상 한국인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본당모습

 
교회홈페이지

 


1. 중국 내 한국교회의 특징

1) 한인 교민과 유학생 중심

중국의 한인교회는 주로 교민, 유학생, 주재원 가족, 출장자 등을 대상으로 운영됩니다. 중국은 종교 활동이 제한적인 국가이므로, 현지인 전도를 하기보다는 한인들의 신앙생활 유지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중국 정부의 종교 규제 영향

중국에서는 외국인의 종교 활동이 엄격하게 제한됩니다. 따라서 한국교회도 일반적인 교회 건물에서 예배를 드리기보다는 호텔, 사무실, 가정집 등에서 소규모로 운영되기도 합니다. 또한, 공식적으로 '교회'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어려워, "한인 모임" 등의 이름으로 활동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3) 목회자의 비자 문제

중국에서는 종교적인 목적으로 비자를 발급받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한국에서 온 목회자들은 사업 비자, 학생 비자, 관광 비자 등을 이용해 체류하면서 목회를 하기도 합니다.

4) 한국 교회의 형태 유지

중국에 있는 한인 교회들은 한국의 교단과 예배 형식을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로 장로교, 감리교, 침례교 등의 교단이 있으며, 한국어 예배를 기본으로 하지만, 일부 교회는 영어, 중국어 통역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5) 교민 사회와 긴밀한 관계

중국의 한인교회는 단순한 종교 공간을 넘어, 교민들이 서로 돕고 정보를 나누는 커뮤니티 역할을 합니다. 주재원 가족, 사업가, 유학생 등이 교회를 통해 친목을 다지고, 생활 정보를 공유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2. 중국 한인교회의 운영 방식

1) 비공식적인 예배 장소 활용

앞서 언급했듯이, 중국 정부의 규제로 인해 한국교회들은 일반적인 교회 건물에서 예배를 드리기 어렵습니다. 대신 호텔, 카페, 가정집, 사무실 등을 활용하여 소규모 예배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인터넷과 온라인 예배 활용

코로나19 이후, 중국에서도 온라인 예배가 더욱 활성화되었습니다. 웨이신(WeChat), 유튜브, 줌(Zoom) 등을 활용해 비대면 예배를 진행하는 한인 교회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3) 비즈니스와 연계된 운영

일부 한인교회는 비즈니스 형태로 운영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정식 교회 등록이 어려운 경우, 교회 사역자가 어학원, 카페, 문화센터 등의 사업체를 운영하면서 신앙 공동체를 유지하는 방식입니다.


3. 중국에서 한인교회를 찾는 방법

중국에 거주하거나 여행 중인 한인이라면, 현지에서 한인교회를 찾고 싶을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을 활용하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네이버 카페 & 블로그 검색 → "심천 한인교회", "북경 한인교회" 등으로 검색
카카오톡 & 웨이신(WeChat) 커뮤니티 → 한인 모임에 문의
지인 소개 → 중국에 거주하는 한국인을 통해 교회 정보 확인
교회 공식 웹사이트 & SNS → 일부 교회는 홈페이지를 운영


4. 마무리

중국에 있는 한국교회는 종교 규제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한인들의 신앙생활을 돕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특히, 비공식적인 예배 장소, 온라인 예배, 커뮤니티 역할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 교회의 예배 형식을 유지하면서 한인 교민들에게 신앙적인 안식처가 되어주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한인교회를 찾고 있다면, 네이버 블로그, 카카오톡, 웨이신(WeChat) 등을 활용해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신앙생활을 지속하고 싶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